-
Spring Boot에서 File을 송수신할 때의 disk I/O
disk I/O는 머신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하나의 머신에서 여러 process를 사용한다면 신중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JVM 기반의 언어(Java, Kotlin)에서 사용하는 File 또는 Resource 관련 class들은 in-memory data를 관리하는 게 아니다. 이러한 class들은 input stream을 이용해서 binary를 ‘읽어 오는’ 작업과 그 파일의 메타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MultipartFile을 수신할 때 MultipartFile을 수신하면, 서블릿은 이 파일을 disk의 temp directory에 임시로 ‘저장’한다. MultipartFile은 Resource를 member로 가지고 있고, Resource는 binary를 input stream을 통해 읽어 오는데, 서블릿은 binary를 disk에서 직접...
-
Kotlin에서 ByteArray를 MultipartFile로 post하기
val file = object : ByteArrayResource(byteArray) { override fun getFilename(): String { return "tempFileName.ext" } } val headers = HttpHeaders() headers.contentType = MediaType.MULTIPART_FORM_DATA val body: MultiValueMap<String, Any> = LinkedMultiValueMap() body.add("file", file) val requestEntity = HttpEntity(body, headers) val response = restTemplate.exchange(uri, HttpMethod.POST, requestEntity, object : ParameterizedTypeReference<String?>() {}) 구현체를 못 봐서 정확히는 모르지만, 추측하자면 MultiparFile의 interface에는 getResource()가 정의되어 있고, Resource 타입의 객체를 리소스로서 들고 있는 것 같다. ByteArrayResource는 Resource를 조상 클래스로 두고 있는, ByteArray를 리소스로 관리하는 클래스이므로...
-
Kotlin에서 JPA 기본 repository interface 사용시 불편한 점
JPA의 respository interface를 코틀린에서 사용하면 조금 불편한 상황이 발생한다. interface SometingRepository : CrudRepository<Something, Long> { // (1) fun findById(id: Long): Something? // (2) fun findByIdAndActiveIsTrue(id: Long): Something? } val entity = somethingRespoitory.findById(id); 여기서 entity의 type은 Optional<T>이다. 왜냐면 interface가 Optional<T> findById(ID var1); 이렇게 생겼기 때문이다. 이 interface는 Optional<Something!>를 뱉는다. 그러면 어떤 문제가 벌어질까? entity.get()으로 그 안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 * If a value is present, returns the value, otherwise throws * {@code NoSuchElementException}....
-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Request Dto에 NotNull 사용하기
import javax.validation.Valid @PostMapping("/hi") fun someFunction(@RequestBody @Valid dto: Dto) import javax.validation.constraints.NotNull data class Dto( @field:NotNull var temp1: String? = null, var temp2: String? = null ) 꼭 dto 앞에 @Valid가 붙어 있어야 validation을 해줍니다. @RequestBody @Valid dto: Dto에서 @Vaild가 뒤쪽에 있어야 동작했었는지, 순서가 상관 없었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나네요. Response Dto에는 NotNull 어노테이션이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NotNull은 java annotation인데, kotlin에서 사용할 때는 꼭 @field:NotNull로 필드가 NotNull임을 명시해 주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MultipartFile을 수신할 때 주의점
잡것들 Content-Type은 multipart/form-data이고, form-data를 보내므로 @RequestBody 같은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안 됩니다. RFC 표준에서는 ‘client는 body를 같이 보내면 안 되고, server에서는 body가 있으면 무시해야 한다’ 정도로 써있었던 것 같은데 정확히는 잘 기억이 안 나네요. 아무튼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은 엄청 깐깐해서 body가 있으면 Content-type: ??? not supported 아마 이렇게 생긴? Exception를 뱉으면서 controller까지 보내지도 않습니다. 또, MultipartFile 외에 primitive type의 fields를 함께 수신하고 싶다면(파일이랑 json을 같이 보내는 등), 파일을 제외한 나머지 필드들의 타입은 무조건 text입니다. text만 받는 것이...
-
Spring Boot 프로젝트에서 파일 리소스 관리하기
// resources/dir/file.txt @Value("classpath:dir/file.txt") lateinit var resource: Resource getResources() 함수와의 차이점 getResources() 함수는 자바 내장 함수입니다. (java.lang.ClassLoader.getResources) getResources()로 파일을 가져오면 ide상의 로컬 개발 환경에서 잘 돌아갈 수 있지만, jar를 뽑아서 실행할 때 uri가 바뀌기 때문에 아마 화가 나게 될 수도 있습니다. getResources()로 해도 잘 되는 경우도 있는데, 제가 했던 프로젝트의 경우는 잘 안 되었습니다. 반면 위에서는 spring annotation을 사용했기 때문에 스프링이 path를 관리해 줍니다. 그래서 jar를 서버에 올려서 실행할 때도 문제가 없(다고합)니다. resources/static 에 넣으면 안...
-
[BOJ] 2492: 보석
2492: 보석 풀이 이 풀이를 참고하자. 복붙 날먹 꺼-억 아 이 문제는 사각형이 격자를 벗어나면 안 되니까 주의하자. 코드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m, t, k; int dap, dap_x, dap_y; struct abc { int x, y; } a[111]; void go(int x, int y) { int cnt = 0; for (int i = 1; i <= t; i++) { if (x <= a[i].x && a[i].x <= x+k && y <= a[i].y && a[i].y...
-
[BOJ] 2496: 금강석
2496: 금강석 풀이 (x, y)의 좌표계를 변환하자. (x, y) => (x+y, x-y)로 좌표를 변환시키면 좌표계가 45도 기울어지고, 점 사이의 간격이 root(2)배만큼 늘어난다. 좌표계를 돌리고 나면 마름모가 정사각형이 되므로, 문제를 풀기 한결 수월해진다. T가 100밖에 안 된다는 점을 주목하자. 정답에 포함되는 어떤 금강석들의 집합이 있다고 하자. 이 금강석들을 포함하는 사각형은, 얘네들을 모두 포함하는 선에서 이리저리 잘 옮길 수 있을 것이다. 정답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사각형을 최대한 오른쪽 아래로 땡겨보자. 항상 두 개의 금강석이 왼쪽과 위쪽 변에...
-
[잡담] 최근에 재밌게 푼 유형
최근에 접한 문제들 중에서 재밌게 풀었던 것들을 몇 개 적습니다. set에 다항식 넣기 17196: Cow Steeplechase II 선분이 N개 주어집니다. 단 하나의 선분을 제거하면, 어떤 선분쌍도 교차하지 않음이 보장됩니다. 제거해야 하는 선분은? x축 정렬하고 스위핑 합니다. 선분의 시작점을 만나면 set에 넣고, 끝점을 만나면 set에서 뺍니다. i번째 선분을 a[i] = { sx,sy, ex,ey }라고 합시다. 선분의 시작점을 만나면: (a[i], a[i].sy에서 위로 가장 가까운 선분), (a[i], a[i].sy에서 아래로 가장 가까운 선분) 두 쌍을 교차판정 합니다. 선분의 끝점을...
-
[BOJ] 10759: 팰린드롬 경로3
10759: 팰린드롬 경로3 풀이 d[i][j] = 문자열의 길이가 k이고, i행에서 시작해서 j행으로 끝나고, 그 문자열의 중심이 배열의 대각선(왼쪽 아래~오른쪽 위)에 있을 때, 그 문자열이 팰린드롬인 경우의 수 d[k][i][j] = d[k-2][i][j]+d[k-2][i+1][j]+d[k-2][i][j-1]+d[k-2][i+1][j-1] 식은 위와 같고, 배열은 k를 토글링 해서 n^2개만 사용할 것이다. (1,1)~(n,n)의 문자열은 길이가 항상 홀수이다. 중앙의 diagonal 대각선을 기준으로, 팰린드롬의 길이를 앞뒤로 2씩 확장해 나갈 수 있다. (a,b)~(c,d)의 중심이 대각선에 겹치려면, (a-1)+(b-1) = |(c-n)+(b-n)|을 만족해야 한다. (두 점이 각 끝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같아야 한다.) a와...